알고리즘/백준

[Python] 백준 1439번 - 뒤집기

번잔중 2022. 4. 22. 17:33
 

1439번: 뒤집기

다솜이는 0과 1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를 가지고 있다. 다솜이는 이 문자열 S에 있는 모든 숫자를 전부 같게 만들려고 한다. 다솜이가 할 수 있는 행동은 S에서 연속된 하나 이상의 숫자를 잡고 모

www.acmicpc.net

 

문제

다솜이는 0과 1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를 가지고 있다. 다솜이는 이 문자열 S에 있는 모든 숫자를 전부 같게 만들려고 한다. 다솜이가 할 수 있는 행동은 S에서 연속된 하나 이상의 숫자를 잡고 모두 뒤집는 것이다. 뒤집는 것은 1을 0으로, 0을 1로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.

예를 들어 S=0001100 일 때,

  • 전체를 뒤집으면 1110011이 된다.
  • 4번째 문자부터 5번째 문자까지 뒤집으면 1111111이 되어서 2번 만에 모두 같은 숫자로 만들 수 있다.

하지만, 처음부터 4번째 문자부터 5번째 문자까지 문자를 뒤집으면 한 번에 0000000이 되어서 1번 만에 모두 같은 숫자로 만들 수 있다.

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, 다솜이가 해야하는 행동의 최소 횟수를 출력하시오.

 

입력

첫째 줄에 문자열 S가 주어진다. S의 길이는 100만보다 작다.

 

출력

첫째 줄에 다솜이가 해야하는 행동의 최소 횟수를 출력한다.

 

s = input()
cpr = s[0]
cnt = 1

for i in range(1, len(s)):
    if s[i] != cpr:
        cpr = s[i]
        cnt += 1

print(cnt // 2)

 

이 문제는 111111000011110000111000111 같은 킹받는 수가 있어도 결국엔 1에서 0, 0에서 1로 바뀌는 구간만 중요합니다. 즉 저렇게 긴 숫자도 사실은 1010101이나 마찬가지죠! 다른 수들도 보시면

S 길이 바뀐 횟수
0 또는 1 1 0
10 2 1
101 3 1
1010 4 2
10101 5 2
101010 6 3
1010101 7 3
10101010 8 4
101010101 9 4

뭔가 규칙이 보이지 않으시나요?

길이를 2로 나눈 몫이 바뀐 최소 횟수가 됩니다. 이 규칙을 알게 됐으니 코드로 구현만 해주면 되는거였습니다.

 

저는 우선 비교할 문자를 저장할 cpr이라는 변수에 첫 문자를 저장했습니다. cnt는 첫 숫자를 저장하면서 1로 설정했는데요. 그 이유는 바뀐 횟수를 2로 나눠주게 되면 1씩 모자랍니다. 1010의 경우 길이는 4이지만 바뀐 횟수는 3가 되는데요. 이 경우 0만 뒤집어주면 2회가 답이 되어야 하는데, 바뀐 횟수를 2로 그냥 나눠주게 되면 1회가 출력됩니다. 그래서 cnt의 초기값을 1로 설정했습니다. (0이나 01의 경우도 2로 나누면 잘 나옵니다!) for문에서는 두 번째 원소부터 마지막 원소까지 점검하면서 cpr에는 바뀐 값(1 또는 0)을 삽입하고 cnt에는 1씩 더해주면서 길이를 구합니다. 출력에서는 cnt를 2로 나눈 몫이 답이 됩니다.

 

규칙성을 발견하기까지 꽤 시간을 많이 잡아먹었네요... 조금씩 나아지길 기대하며 공부하겠습니다,,

 

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