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 할 일
- 20230213 - 코드스테이츠 동기 모임!
- 20230214 - JPA 학습
오늘 배운 것
- 영속성 컨텍스트에는 1차 캐시라는 영역과 쓰기 지연 SQL 저장소라는 영역이 있다.
- JPA의 API 중에서 엔티티 정보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(persist)하는 API를 사용하면 영속성 컨텍스트의 1차 캐시에 엔티티 정보가 저장된다.
- API에 따라서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는 INSERT, DELETE 등의 쿼리문 형태로 등록된다.
- 영속성 컨텍스트 관련 JPA API
- EntityManager
- persist()를 사용해서 엔티티 객체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
- 엔티티 객체의 setter 메서드를 사용해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된 엔티티 객체의 정보를 업데이트
- remove()를 사용해서 엔티티 객체를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제거
- flush()를 사용해서 영속성 컨텍스트의 변경 사항을 테이블에 반영
- EntityTransaction의 commit()을 호출하면 내부적으로 flush()가 호출됨
- EntityManager
느낀점
-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한 내용을 거의 다 잊어버렸는데, 이번 기회에 제대로 정리해야겠습니다.
- 13일에는 코드스테이츠 동기들과 하루종일 노느라 아무것도 하지 않았습니다. 상당히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!
내일 할 일
- 메인 프로젝트 리팩토링 시작 - 자유글에 이미지 여러 개 저장 기능 추가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IL_20230216 (0) | 2023.02.17 |
---|---|
TIL_20230215 (0) | 2023.02.15 |
TIL_20230212 (0) | 2023.02.12 |
TIL_20230211 (0) | 2023.02.11 |
TIL_20230210 (0) | 2023.02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