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IL

TIL_20221219

번잔중 2022. 12. 19. 23:51

오늘 할 일

🍼 코드 스테이츠 83일차

[Pre-Project] Day 3

  • Unit 3 학습

다른거

  • 1일 1커밋

오늘 배운 것

[Pre-Project] Day 3

프로젝트 기획과 분석

  • SRS는 소프트웨어가 무엇을 할 것이며 어떻게 작동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설명하는 문서이다. 또한 제품이 모든 이해 관계자(비즈니스, 사용자)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기능을 설명한다.
  • SRS는 우리가 개발하고자 하는 소프트웨어(제품)가 무엇을 하는 것이고 어떻게 작동할지를 예상하는 문서의 집합이다.
  • 정리하자면 SRS는 소프트웨어(제품)를 기획/분석, 설계, 구현, 시험 하는데 있어 필요한 종합 설계도와 같다고 할 수 있다.
  • RFP(Request For Proposal)를 통해 제안요청을 하고 프로젝트 계약이 완료되면 SRS(Software requirements specification)를 통해 프로젝트의 큰 그림을 설계한다.

프로젝트 설계

  • 분석 > 설계 > 구현 > 시험
  •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: 고객의 요청 사항을 기반으로 SRS의 협의 내용을 적용하고 실제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요구사항을 재정의 하라는 의미이다.
  • 화면 정의서: 작성할 부분이 상당히 많은 문서지만 매우 중요한 설계 단계 문서이므로 어떻게 작성하는지 직접 경험해보고 해당 문서를 구현 단계에서 활용하여 개발 할 수 있는 것에 목표를 두면 좋다.
  • 테이블 명세서: 최종적으로 설계된 테이블과 인덱스를 데이터베이스 공간에 맵핑시키고 저장공간 등의 물리 모델을 기술한다.
  • API 명세서: API를 정의할 때 웹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RESTful한 API를 정의하고 구현한다. RESTful한 API란 모든 리소스에 대해 고유한 URI를 부여하고 HTTP Method를 적절히 사용하여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다. 이때 요청에 대한 응답은 JSON이나 XML과 같은 사전 정의된 형식을 사용하여 일관된 방법으로 주고 받는다.

다른거

- 1일 1커밋

BOJ 5585 거스름돈 문제를 풀었습니다. 문제는 간단합니다! 물건의 가격을 입력으로 받아서 1000엔 - 물건 가격으로 값을 수정해준 뒤에 change 배열 내에 있는 거스름돈으로 나눈 값을 개수에 더해줍니다. 전체 거스름돈을 사용할 때까지 for문을 순회하면 됩니다!

 

BOJ 5585 거스름돈 문제

 

GitHub - chaning49/algorithm: 코딩테스트를 위한 알고리즘 공부

코딩테스트를 위한 알고리즘 공부. Contribute to chaning49/algorithm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
github.com

느낀점

  •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를 작성하면서 프로젝트가 시작됐다. Stackoverflow를 클론 코딩하는 것인데, 내가 아는 Stackoverflow의 기능보다 훨씬 더 많았다. 이 내용들을 모두 구현하려면 남은 시간이 모자란 것 같다.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의 내용을 필요하고, 구현 가능한 범위를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.
  • 아직 감이 안잡혀서 내일 라이브 세션을 참고 해야겠다!

내일 할 일

🔥 코드 스테이츠 84일차

[Pre-Project] Day 4

  •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
  • 테이블 명세서 작성

다른거

  • 1일 1커밋
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IL_20221221  (2) 2022.12.21
TIL_20221220  (0) 2022.12.20
TIL_20221218  (0) 2022.12.18
TIL_20221217  (0) 2022.12.17
TIL_20221216  (0) 2022.12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