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QL 종류
설명
SQL에는 데이터를 조회하고 테이블을 만드는 등 다양한 문법이 있다. 그리고 쿼리문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에 따라, 그 기능이나 작업이 달라진다.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처럼 SQL에서도 역할에 따라 문법이 다양하게 존재한다.
문법의 종류
- Data Definition Language
- Data Manipulation Language
- Data Control Language
- Data Query Language(여기서는 다루지 않을 예정이다.)
- Transaction Control Language
Data Definition Language(DDL)
데이터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언어이다.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의 구조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.
명령어 |
설명 |
CREATE |
이 명령은 데이터베이스 또는 해당 개체(예: 테이블, 인덱스, 함수, 뷰, 저장 프로시저 및 트리거)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. |
ALTER |
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변경할 때 사용한다. |
DROP |
데이터베이스에서 개체를 삭제하는 데 사용한다. |
TRUNCATE |
레코드에 할당된 모든 공간이 제거되는 것을 포함하여 테이블에서 모든 레코드를 제거하는 데 사용, 테이블을 그냥 비운다고 보면 된다. |
RENAME |
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객체의 이름을 바꿀 때 사용한다. |
COMMENT |
데이터 사전에 주석을 추가할 때 사용한다. |
Data Manipulation Language(DML)
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언어이다.
명령어 |
설명 |
SELECT |
테이블을 조회할 때 사용, 엄밀히 말하면 DQL로 분류되지만 DQL이 DML의 일부분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DML에 포함시켰다. |
INSERT |
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할 때 사용한다. |
UPDATE |
테이블 내의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한다. |
DELETE |
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서 레코드를 삭제할 때 사용한다. |
Data Control Language(DCL)
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 권한과 관련된 문법이다. 어느 유저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지 권한을 설정한다.
명령어 |
설명 |
GRANT |
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한다. |
REVOKE |
GRANT 명령을 사용하여 부여된 사용자의 액세스 권한을 철회한다. |
Transaction Control Language(TCL)
DML을 거친 데이터의 변경사항을 수정할 수 있다.
명령어 |
설명 |
COMMIT |
트랜잭션을 커밋한다. |
ROLLBACK |
오류가 발생한 경우 트랜잭션을 롤백한다. |
주요한 명령어만 모아서 가볍게 정리해봤습니다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