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Python] 백준 2231번 - 분해합
2231번: 분해합
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,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.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,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. 예를 들어, 245의 분해합은 256(=245+2+4+5)이
www.acmicpc.net
문제
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,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.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,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. 예를 들어, 245의 분해합은 256(=245+2+4+5)이 된다.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. 물론,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. 반대로,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.
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,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자연수 N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.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.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n = input()
temp = 0
for i in range(1, int(n)):
for j in range(len(str(i))):
temp += int(str(i)[j])
ans = int(i) + temp
if ans == int(n):
print(int(i))
break
temp = 0
if temp == 0:
print(0)
이번 문제는 입력받은 수를 문제에서 제시한 규칙에 따라 답을 구하는 문제였습니다. 입력받은 수와 그 수의 자릿수를 모두 합해야하는 문제여서 조금 복잡하게 코드가 나왔고 일반 입력으로 받으니 런타임에러가 생겨서 빠른 입력으로 풀었습니다.
문자열로 입력받은 후에 자릿수를 하나씩 더해주기 위해서 temp라는 변수에 for문으로 저장했고 ans라는 변수에 입력받은 수 + 자릿수의 합을 더해나가는 방식으로 만들었습니다. 여러개일 경우를 대비하여 오름차순으로 더하다가 답이 나오면 break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했습니다. 전체 for문을 빠져나온 경우는 답이 없는 경우이기 때문에 0을 출력해줄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.
근데, 제가 처음 하려던 자릿수별 합을 구하는 방법이 있었네요 ㅠㅠ
# 힌트
sum((map(int, str(i))))
입력받은 n까지 for문을 돌리도록 하고 for문에서 증가하는 수를 i라고 했을 때, map 함수를 사용해주면 list나 tuple 형식으로 입력받은 경우에도 자리마다 int형으로 변환해주어서 sum함수에 넣어주면 합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. 이 방법으로 하시면 더 짧고 효율적인 코드를 사용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!
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.